USBhosrFS 모드를 지원하는 새로운 PSAR Dumper인 RSPsar Dumper입니다.
PSAR Dumper란 손휘의 공식 펌웨어 파일인 EBOOT.PBP로부터 개별 펌웨어 파일을 추출해서 덤프하는 프로그램으로 낸드플래시의 원본 파일을 구하고자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을 지원하므로 메모리스틱에 따로 EBOOT.PBP 파일을 복사할 필요가 없습니다. 게다가 덤프된 파일도 PC의 하드디스크에 바로 저장되므로 아주 빠르게 펌웨어 덤프를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손휘의 저용량 메모리스틱에서 펌웨어 덤프를 하면 기본이 10분이지만, 위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1. 아래의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설치합니다.
- RS 폴더 -> 메모리스틱 상위에 복사.
- RSPsarDumper 폴더 -> ms0:/PSP/GAME/ 또는 /GAME3xx/ 폴더에 복사. (예:커펌 3.71의 경우 /GAME371/)
(인스톨러가 포함되어 있기는 하지만 별로 유용성이 없으므로 생략합니다.)
2.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온 'usbhostfs' 폴더 안으로 덤프하고자 하는 공식 펌웨어 파일 (EBOOT.PBP)을 따로 받아 복사합니다.
* Download :
공식 펌웨어 모음 3. 그리고 같은 'usbhostfs' 폴더 안의 USBHostfs.exe를 실행하면 도스창이 하나 뜨는데, 덤프가 진행되는 동안은 절대 종료하면 안됩니다.

4. 이제 PSP와 PC를 USB로 연결하고,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RSPsar Dumper'를 실행합니다.

5.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R트리거를 눌러 USBhostFS 모드를 활성화합니다.
연결이 정상적으로 되었다면 화면 아래에 빨간 글씨로 연결되었다는 메세지가 출력됩니다.

6. 동시에 PC의 USBHostfs.exe 창에는 위처럼 'Connected to device'라는 메세지가 출력됩니다.
(만약 위와 같은 메세지가 나오지 않고 새 하드웨어 추가 마법사가 뜬다면 'usbhostfs/driver' 폴더를 지정해서 Type B 드라이버를 설치해주면 됩니다.)


7. 이제 USBhostFS가 연결된 뒤에, PSP에서 아래대로 목적에 맞는 버튼을 누르면 펌웨어 EBOOT.PBP 파일에서 자동으로 PSAR 파일을 추출한 뒤 펌웨어 버전 확인 후 덤프가 진행됩니다.
* 엑스버튼 : sigcheck와 디크립트된 reboot.bin 파일을 포함해서 인크립트(암호화)된 상태로 덤프
* 동그라미버튼 : sigcheck와 디크립트된 reboot.bin 파일을 제외하고 인크립트(암호화)된 상태로 덤프
* 네모버튼 : 모든 파일을 디크립트(암호 해독)된 상태로 덤프
* 셀렉트버튼 :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XMB로 복귀

8. 덤프가 완료되면 PSP는 XMB로 자동으로 복귀하고, PC의 'usbhostfs' 폴더로 들어가면 새롭게 'DUMP'라는 폴더가 생성되게 됩니다. 이 'DUMP' 폴더에 해당 펌웨어의 개별 파일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파일을 선택해 사용하면 됩니다. (Popsloader 설치라든지, 원본 폰트 파일 추출 등등...)
# 위의 USBhostFS 모드를 이용하는 것 외에도 예전 방식대로 메모리스틱 상위에 EBOOT.PBP 파일을 복사해서 덤프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new psar로 2시간 넘게 걸려가면서 했는데 ㅡ.ㅜ 정말 편한게 나왔군요 ^^
답글삭제이시간에도 포스팅을 하시다니 대단하십니다 포포츠님 ^^
@Codename K - 2007/11/23 02:32
답글삭제Codename K/내일은 수업이 없어서요. ㅎㅎ
그러는 Codename K님은 이 시간까지 뭐 하시느라..
옙.. 저는 하루 3시간 정도만 자도 원 출력의 80%가 나오는 로봇이라
답글삭제열심히 포포츠님 블로그 보면서 공부중입니다 ^^
picodrive 에뮬도 상세한 설명 리뷰 좀 부탁드려보아요. 각종 검색을 해보았는데요. 마땅한 것이 없네요.
답글삭제버전별로 다 덤프가 가능한가요????
답글삭제1.5과 3.7을 동시에 덤프가 가능한건가요???
초보라서 덤프는 잘 몰랄요
찾아봐도 별로 없네요
정말 모든건 시간이 해결해주는거 같네영~ ^^*
답글삭제항상 들르긴 하는데,,,예전에 비해 블로그가 넘 커진 느낌이라서,,,
댓글도 제대로 못 남겼네영!! ^^*
@rhkdals - 2007/11/23 08:33
답글삭제rhkdals / 글을 읽어보면 아시겠지만 EBOOT.PBP 파일만을 덤프에 사용하기에 동시에 덤프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덤프 시간이 매우 짧으니 PC에서 EBOOT.PBP 파일의 이름만 변경해가면서하면 그리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을 겁니다.
@괴혼™ - 2007/11/23 10:58
답글삭제괴혼™ / 자주 오셨으면 인사라도 하셔야지욧!
그래도 초창기 멤버(?)시잖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