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타케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타케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9년 3월 1일 일요일

[테마만들기7] Xmb Multi Customizer

오랜만에 쓰는 테마만들기 글입니다. 실력이 없어서인지 테마만들기 글은 항상 어렵군요.
그동안 RCO 파일 수정에 대해 기본적인 것을 알아봤으니 이번부터는 PRX 파일의 수정에 대해 시작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PRX 파일이 무슨 역할을 하는지 간단히 알아보고, 주요 PRX 파일을 수정할 수 있는 타케시의  Xmb Multi Customizer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사실상 XMB상의 대부분의 그래픽은 RCO 파일이 담당하고 있으며, flash0:/vsh/module/ 폴더의 PRX 파일들은 각 구성요소의 위치 관계나 색상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AppleCor 테마를 비롯한 변형된 형식의 테마팩들은 모두 PRX 파일까지 수정해서 만든 것들입니다. 반대로 기본 XMB 형식을 벗어나지 않는 테마팩은 PRX 파일의 수정없이 RCO 파일의 수정만으로도 얼마든지 만들 수 있죠.

flash0:/vsh/module/ 폴더에서 테마와 관련있는 주요 PRX 파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vshmain.prx : 월별 폰트 색상 및 구성요소(시계,배터리,정보창 등)의 위치 관계, 연결 모듈 설정 등
paf.prx : 메뉴 이동시 스크롤 속도 및 각 아이콘간의 간격 등
common_gui.prx : 텍스트 크기 및 인포바 위치와 텍스트 크기 등

각 prx 파일이 담고 있는 정보가 너무 많아 일일히 열거할 수는 없고 또 각 prx 파일이 서로 연동되어 작동하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자세한게 설명한다는 것 자체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대표적으로 이 3개 파일을 주로 수정해서 테마를 만들고 있다고 알아두시면 됩니다. 그 외 다른 prx 파일은 XMB에서 해당 메뉴를 선택했을 때 실제 실행되는 모듈 파일들이며 이러한 prx 파일은 주로 외관이 아닌 해당 기능 자체에 변화를 주고 싶을 때 주로 수정합니다.

사실 이렇게만 적으면 뭐가 뭔지 잘 모르는 것이 당연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prx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직접 여러가지로 테스트해보면 어느 파일이 무슨 역할을 하는지 조금은 감이 오리라 생각됩니다.

prx 파일은 전체적인 개념을 설명하기가 너무 어려우므로 이전에 발표된 에디터 프로그램들을 하나씩 소개하는 것으로 대신하겠습니다.
--------------------------------------------------------------------------------------------------------

그럼 이번에는 실제로 prx 파일을 수정할 수 있는 대표적인 에디터  Xmb Multi Customizer for windows라는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처가기]

하지만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Borland C++Builder4 런타임이 먼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http://www.vector.co.jp/soft/dl/win95/util/se099966.html 에서 해당 런타임을 받아 설치해주세요.


런타임까지 설치가 끝났다면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XmbMC.exe'를 더블클릭하면 설치없이 바로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Xmb Multi Customizer for windows 사용법 열기


사실 거창하게 사용법이라고 하긴했지만 실제로 쓸만한 내용은 하나도 없군요. 하지만 더 이상 자세하게 설명하는 것도 한계가 있습니다. 자신만의 특별한 테마를 만들기 위해서는 각 파일을 수정할 수 있는 실력도 중요하지만 아이디어가 더욱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떤식으로 만들 건지 확실히 개념을 잡아놓은 뒤에 이에 맞춰서 각 파일을 수정해 나가는 것이 순서겠죠.

또 Xmb Multi Customizer for windows라는 프로그램은 직관적이어서 사용하기가 무척 쉬운 편이지만, 각 항목이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좀 더 철저한 공부가 필요합니다. 이게 뭘 변경하는지 모른다면 아무 소용도 없을테니까요.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이 너무 많아서 모든 것을 설명하는 건 불가능하므로 하나씩 변경해가면서 각자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네, 그래서 테마만들기가 어렵다는 것이죠. ㅡㅜ

마지막으로 이번에도 위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그 동안 간간히 건드리던 테마를 변경했습니다.
기본 형식은 AppleCor를 따라서 만들어 봤는데 아직 한참 부족하군요.

2009년 1월 31일 토요일

플러그인 목록 편집 - plugins config editor

일본 개발자 たけし(타케시)가 개발한 plugins config editor입니다. [출처가기]

PC 없이 PSP에서 플러그인 설정을 담당하는 VSH.txt, GAME.txt, POPS.txt를 편집할 수 있는 홈브류로, 지금껏 나온 비슷한 종류의 홈브류중에 가장 사용하기 편한 툴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커펌 5.00 M33-2에서는 플러그인 등록 형식이 변경되었는데, 작년 12월에 이를 지원하도록 새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이제야 소개하는군요.

PC를 이용할 수 없는 환경일 경우 PSP의 무선인터넷을 이용해서 플러그인을 다운로드하고 PSP Filer로 압축을 푼 뒤에  plugins config editor를 이용해서 플러그인을 등록하는 등의 응용이 가능하지요.


우선 ms0:/PSP/GAME/ 폴더안에 임의의 폴더를 새로 만듭니다. (여기서는 PCE라는 폴더를 만든다고 가정.)
그리고 커펌 OE에서 커펌 5.00 M33-1까지의 사용자는 첨부파일 내의 EBOOT.PBP 파일을 ms0:/PSP/GAME/PCE/ 폴더에 복사하면 되고, 커펌 5.00 M33-2 이상의 사용자는 첨부파일의 '5.00M33-2' 폴더 안에 있는 EBOOT.PBP 파일을 ms0:/PSP/GAME/PCE/ 폴더에 복사한뒤 실행하면 됩니다.


plugins config editor를 실행하면 위처럼 각 텍스트파일에 등록된 플러그인 목록을 불러옵니다.
원하는 목록으로 편집하고 활성화/비활성화까지 변경한 뒤 스타트버튼을 눌러 저장하면 됩니다.

자세한 조작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방향키 위/아래 : 목록 위/아래 이동
R트리거 : VSH / GAME / POPS 간 전환
스타트버튼 : 파일 저장
셀렉트버튼 : 해당 플러그인 활성화 / 비활성화
L트리거 + R트리거 : 언어 전환 (영어/일본어)
L트리거 + 동그라미버튼 : 현재 위치에 메모리스틱에 있는 PRX 파일을 등록
L트리거 + 세모버튼 : 새로운 줄을 삽입해서 메모리스틱에 있는 PRX 파일을 등록
동그라미버튼 : 현재 위치 수동 편집
세모버튼 : 새로운 줄 삽입
네모버튼 : 현재 줄 삭제
엑스버튼 : 홈브류 종료


동그라미버튼을 눌러서 각 줄을 직접 한 글자씩 변경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L트리거 + 동그라미버튼 또는 L트리거 + 세모버튼을 누르면 경로를 한 글자씩 입력할 필요없이 메모리스틱 내에 있는 PRX 파일을 직접 찾아서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사용시에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 플러그인의 각 파일 경로는 확장자를 포함해 80글자 이내로 할 것.
- 각 모드(VSH/GAME/POPS)에 등록할 수 있는 플러그인 수는 5개가 한계. (커펌 5.00 M33-2에서는 15개.)
- 플러그인의 활성화/비활성화를 변경한 뒤에는 반드시 PSP를 재부팅해야 적용됨.

* 관련글 보기 *
[2009/01/18] - SEplugins Mana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