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Recovery Flasher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Recovery Flasher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8월 17일 화요일

커펌 재설치, 버전 내리는 방법 정리

블로그에 자주 올라오는 질문 중 몇 가지가 바로 다음과 같은 것들입니다. 특히 새로운 커펌 버전이 발표될 때 말이죠.

"커펌을 새로 설치했는데, 맘에 안들어서 원래 커펌으로 돌아가고 싶어요. 어떻게 해요?"
"이 커펌 설치했더니 이상해요, 원래대로 어떻게 돌아가요?"
"(낸드플래시에서) 뭘 건드렸더니 이상해졌어요. 어떻게 해요?"
"리커버리 모드로는 들어가지는데 제대로 부팅이 안되요...(=반벽돌)"

이 외에도 이와 비슷한 질문이 정말 많습니다. 그런데 이런 문제의 해결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그냥 커펌을 새로 설치하면 됩니다. ㅡㅡ;; (물론 일부 반벽돌 문제는 flash1을 초기화해주기만 해도 해결되는 등 커펌 재설치가 100% 최선의 해결법은 아니고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르겠죠.)

하지만 커펌 재설치가 답인데도, 막상 커펌을 재설치하는 방법 그 자체를 몰라 해결하지 못하는 분들도 계시겠죠. 블로그를 뒤져보면 이미 설명해둔 몇 개의 관련글이 있지만 제대로 찾아보지는 않는 듯 싶네요. 그래서 이 글을 통해 커펌을 재설치하거나 예전 커펌으로 돌아가는 방법을 다시 한 번 정리해보겠습니다. 사실 따로 정리라고 하기도 민망한데, 왜냐면 딱 두 가지 홈브류에 대해서만 소개하고 넘어갈 거니까요. 뭐, 그 두 가지만 알면 충분합니다. ^^

바로 리커버리 플래셔 (Recovery Flasher)와 낸드 매니저 (Nand Manager)라는 홈브류입니다. 자세한 설치법이나 사용법은 링크로 대체하고 대신 각 방법을 어떤 경우에 쓰는지, 장점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만 알아보겠습니다.

[ 아래 내용을 읽기 전에 ]
- 이 글은 이미 영구 커펌이 설치되어 있는 PSP에만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정펌이거나 PSP-300X/PSP go 등 영구 커펌을 설치할 수 없는 PSP 사용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예외적으로 정펌 5.03 이하인 일부 PSP에서는 아래 방법의 사용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건 밑에서 따로...)

- 커펌을 설치한다는 건 PSP의 낸드플래시를 거의 완전히 새로 쓰는 작업입니다. 당연히 작업 중 예기치 못한 문제로 인해 PSP가 벽돌이 될 위험성은 언제나 존재합니다. 아래 과정 중 일어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 명심해주세요.

[ 리커버리 플래셔란? ]
리커버리 플래셔란 홈브류는 HellCat이란 개발자가 만든 커펌 설치용 홈브류입니다. 커펌 발표시 배포되는 커펌 인스톨러의 경우 현재 커펌 버전보다 낮은 버전의 설치는 불가능한게 대부분입니다. (커펌 5.50 GEN 시리즈 제외) 쉽게 말해 커펌 5.00 M33에서는 커펌 4.01 M33 인스톨러를 실행해서 설치할 수가 없다는 것이죠. 하지만 리커버리 플래셔는 이런 제약이 없어서 현재 커펌 버전이 무엇인든 상관없이 원하는 커펌 버전의 설치가 가능합니다. 현재 리커버리 플래셔는 v1.60이 최신 버전이며, 추가로 펌웨어 팩이 하나 발표된 상태입니다.

[ 리커버리 플래셔의 장점 ]
- 하나의 홈브류만으로 커펌 3.71 M33-4 / 3.80 M3-5 / 3.90 M33-3 / 4.01 M33-2 / 5.00 M33-6 중에서 원하는 커펌을 선택해 설치할 수 있다. (리커버리 플래셔 v1.60 기준이며, 펌웨어 팩을 추가 설치한 경우 커펌 5.50 GEN-D3 선택도 가능)

- 현재의 커펌 버전보다 낮은 버전의 커펌 설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커펌 5.50 상태에서 커펌 5.00을 새로 설치하려면 (판도라의 배터리를 제외하고) 리커버리 플래셔를 이용하는 방법이 거의 유일합니다.

- 단 한 번에 최신 버전의 커펌 설치가 가능하다. 아주 오래 전에 나온 커펌 SE나 OE 시리즈에서도 중간 단계의 커펌을 거치치 않고 최신 커펌을 바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심지어 정펌 1.50에서도 가능합니다.

- PSP가 반벽돌(리커버리 모드로는 들어가지만 XMB로는 부팅되지 않는 경우)이라도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커펌 설치가 가능하다. (단, 커펌 3.71 M33 이상인 PSP만 해당.)

[ 리커버리 플래셔 활용예 ]
- 커펌 5.50 GEN-D3를 설치했는데, 맘에 들지 않아 원래의 커펌 5.00 M33-6으로 돌아가고 싶을 때.
- 어떤 파일을 받아서 직접 flash0에 덮어썼는데, 백업을 하지 않아 다시 복구하고 싶을 때.
- 무슨 프로그램을 PSP에 설치했는데 PSP 상태가 이상해진 것 같아 커펌을 재설치하고 싶을 때.
- 몇 년 전부터 쓰지 않던 오래된 커펌 PSP인데 최신 커펌을 한 번에 간단하게 설치하고 싶을 때.

[ 리커버리 플래셔 설치법 및 사용법 ]
* 리커버리 플래셔 v1.50 사용방법 -> http://popotz.textcube.com/1071
* 리커버리 플래셔 v1.60 다운로드 -> http://popotz.textcube.com/1172
* 리커버리 플래셔 펌웨어팩 사용방법 -> http://popotz.textcube.com/1577

뭐, 리커버리 플래셔에는 커펌 설치 기능 말고도 다른 부가적인 기능이 많이 있지만 솔직히 말해 그다지 쓸모 있는 기능은 아니니 신경쓸 필요는 없습니다. 위에 링크된 세 개의 글만 꼼꼼히 읽어보면 사용하고 활용하는데 크게 어려움은 없을 것 같군요.

[ 정펌 5.03에서 리커버리 플래셔의 활용 ]
리커버리 플래셔는 원래 커펌인 상태에서만 사용할 수 있지만, 위에서 잠깐 언급했듯이 정펌 5.03인 경우에만 특별하게 리커버리 플래셔의 사용이 가능합니다. (정펌 5.03 미만일 경우 정펌 5.03으로 업데이트하면 OK!) 바로 펌웨어 5.03의 취약점을 이용한 ChickHEN이 있기 때문이죠.

펌웨어 5.03인 PSP라면 일단 ChickHEN 환경으로 만들어준 후에 리커버리 플래셔를 설치하고 구동합니다. 그 후 자신이 원하는 영구 커펌을 설치하면 됩니다. 물론 영구 커펌을 설치할 수 없는 TA-088 v3 기판의 PSP-200X나 PSP-300X/PSP go는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없으며, 반드시 PSP-100X나 TA-085 v1/v2, TA-088 v1/v2 기판의 PSP-200X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기판 확인은 ChickHEN 상태에서 PSPident로 확인 가능함.)

쉽게 말해 펌웨어 5.03인 PSP-100X/PSP-200X(TA-088 v3 기판 제외)라면 판도라의 배터리같은 준비물 없이도 영구 커펌 설치가 쉽게 가능하다는 얘기입니다.

[ 전문가용? - 낸드이미지 활용 ]
판도라의 배터리 등장 이후 낸드이미지(NandImage)라는 개념이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낸드이미지란 PSP 내부에 있는 낸드플래시메모리의 모든 내용을 단일 파일로 뽑아낸 것을 말합니다. flash0~3뿐 아니라 IPL이나 IDStorage까지 모든 영역의 데이터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낸드이미지의 용량은 낸드플래시메모리 총용량과 동일합니다. (PSP-100X의 경우 32MB , PSP-200X 이후에는 64MB 정도)

이러한 낸드이미지는 관련 프로그램을 통해 새로 생성(백업)할 수도 있고, 이미 백업한 낸드이미지를 이용해 PSP를 복구할 수도 있습니다. 어려워 보이지만 개념만 알면 아주 쉽습니다.

[ 커펌 재설치 vs 낸드이미지 백업/복구 ]
컴퓨터의 OS에 비유하자면... 리커버리 플래셔를 통한 커펌 재설치는 윈도우 CD/DVD를 이용해 새로 설치하는 것이고, 낸드이미지를 이용한 백업/복구는 고스트를 통해 이전 윈도우를 백업하고 복구하는 것입니다.

당연히 커펌 재설치의 경우 사용자 설정 등을 매번 새로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낸드이미지를 이용하는 경우 백업할 때의 상태 그대로 복구가 되므로 따로 해야 할 일이 없어 편리합니다. 또한 복구 속도 역시 낸드이미지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빠릅니다. (낸드이미지 복구는 약 2~3분이면 끝.)

다만, 낸드이미지 복구 방법의 경우 반드시 미리 백업한 낸드이미지가 있어야 합니다. 다시 말해 한 번도 설치해본 적 없는 커펌의 경우에는 이 방법을 활용할 수 없다는 것이죠. 하지만 새로운 커펌 설치 전이나 혹은 설치 후 항상 낸드이미지를 백업하는 습관을 들인다면, 무엇보다 더욱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겁니다. (저로서는 모든 커펌 PSP 사용자가 이렇게 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ㅜㅜ)

가장 신경쓰이는 부분은 위험성인데, 사실 커펌 재설치나 낸드이미지 복구나 위험하기는 매한가지입니다. 주의사항만 잘 지킨다면 양쪽 방법 모두 크게 문제될 것은 없으며, 저 역시 수 십번 낸드이미지 복구를 해봤지만 벽돌이 된 적은 단 한 번도 없습니다. 다만 낸드이미지 복구시 무엇보다 주의할 점은 다른 PSP의 낸드이미지를 받아서 사용하면 안 된다는 것. 왜냐하면 낸드이미지에는 PSP마다 고유값을 가지는 IDStorage까지 포함되어 있어, 이 경우 100% PSP가 정상 동작하지 않게 됩니다.

[ 낸드 매니저 (Nand Manager)란? ]
낸드이미지 백업/복구 툴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지그킥배터리와 함께 사용되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시리즈와 낸드툴이 있고, 위에서 설명한 리커버리 플래셔에도 이 기능이 들어있습니다. 하지만 그 중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추천하는 건 Minerva가 개발한 낸드 매니저라는 홈브류입니다. (참고로 어느 툴을 사용하든 백업한 낸드이미지는 서로 호환됩니다.)

낸드 매니저는 단순 홈브류 형식으로 작동하므로 별도의 지그킥배터리가 필요없습니다. 또 메모리스틱에 여러 개의 낸드이미지를 저장해두고 그 중에서 원하는 것을 선택해 복구할 수 있으며, 낸드이미지의 파일명을 자신이 알아볼 수 있도록 변경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낸드 매니저 사용방법 ]
* NAND Manager v0.51 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1208

사용방법은 매우 직관적이니 이 글만 읽어도 충분할 것 같네요.


참고로 제가 하드디스크에 백업해둔 낸드이미지들입니다. 더 있었는데 용량 관계상 많이 삭제했네요. 이렇게 낸드이미지를 활용하면 커펌 5.00 M33-6과 커펌 5.50 GEN-D3를 몇 분만에 왔다갔다할 수 있습니다. (정펌과 커펌을 왔다갔다하려면 지그킥배터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 지그킥배터리와 낸드 매니저 ]
만약 PSP가 벽돌이 되었거나 정펌인 상태라도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만 있으면 쉽게 복구가 가능합니다. (물론 지그킥배터리가 작동하는 기판/기종의 경우에 한함.)

하지만 유니버셜 언브리커에 있는 낸드이미지 백업/복구 기능은 파일명이 제한적(nand-dump.bin)이고, 한 번에 하나의 낸드이미지만 저장해둘 수 있어 불편합니다. 그럴 때는 유니버셜 언브리커의 Test M33 메뉴를 통해 메모리스틱의 가상 커펌으로 부팅합니다. 그 후에 기존대로 낸드 매니저를 실행하면, 낸드 매니저의 장점들을 그대로 활용 가능합니다. 정펌의 낸드이미지 백업도 가능하며, 정펌에서 다른 정펌으로 갈아탈 수도 있고, 이전에 설치했던 커펌으로의 복구도 당연히 가능합니다.

지그킥배터리 + 타임머신IPL + 매직메모리스틱 + 낸드 매니저 조합이라면 무서울 것이 없죠.

[ 작업시 주의사항 ] 이 주의사항은 리커버리 플래셔나 낸드 매니저에만 해당되는 건 아니고, 커펌 설치를 비롯해 낸드메모리를 건드리는 모든 작업에 해당됩니다.
- 현재 설치하려는 프로그램이 자신의 PSP에서도 사용 가능한지 확실히 확인한다.
- PSP의 배터리는 충분히 충전하고, 만약을 위해 AC아답터(충전기)도 연결한다.
-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에는 PSP의 전원이 꺼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 오랜만에 쓰는 긴 글이라 제대로 쓴건지, 빠뜨린 건 없는지 걱정되네요. 이 놈의 글솜씨는 죽어도 안 늘어나니... 잘못된 점, 추가할 점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2010년 5월 16일 일요일

[추가] Recovery Flasher 펌웨어팩 v1.10 (5.50 GEN-D3)


Hellcat이 만든 Recovery Flasher는 커펌 3.71 / 3.80 / 3.90 / 4.01 / 5.00을 선택해서 설치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커펌을 재설치하거나 커펌 버전을 내리고 싶을 때, 아니면 반벽돌을 고치고 싶을 때 자주 사용하는 홈브류입니다. 그 외의 부가기능도 다양한 편이죠.

그런데 작년 나온 Recovery Flasher v1.60 변경점 중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었습니다.
[*] "Firmware Packs"을 지원한다. - 일종의 애드온 개념으로 새로운 커펌이 나왔을 때 리커버리 플래셔를 새로 발표해야 하는 필요성을 없애준다. 즉, 리커버리 플래셔를 새로 발표하는 대신에 이러한 팩을 이용해서 리커버리 플래셔가 새로 발표된 커펌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리커버리 플래셔가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커펌 GEN 등을 설치할 경우에도 유용하다.

이에 대해 어떻게 사용하냐고 질문하는 분이 꽤 많았는데, 펌웨어 팩은 Hellcat이 만들어주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는 기능이었습니다. 그런데 약 1년이 지나고, 드디어 Hellcat이 Recovery Flasher에서 커펌 5.50 GEN-D3를 설치할 수 있는 펌웨어 팩을 발표했습니다. [출처가기]

이 펌웨어 팩을 메모리스틱에 넣어주기만 하면, 기존의 Recovery Flasher v1.60으로도 커펌 5.50 GEN-D3를 바로 설치할 수 있게 됩니다. 기능 추가의 개념이죠.

[ 추가사항 ] 커펌 5.50 GEN-D3 펌웨어 팩이 v1.10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가기]
- 가장 최신의 D3 버전이 설치되도록 함. (5.50 GEN-D3 final(최종판))
- 커펌 3.52 M33-4 미만의 커펌(3.40 OE 등)에서 업데이트할 경우 VSH menu나 리커버리 모드를 사용할 수 없던 문제 수정.

사용법은 동일합니다.


Recovery Flasher의 기본적인 설치법 / 사용법은 이전에 작성한 http://popotz.textcube.com/1071를 참고해주세요. 제발요~

여기서는 Recovery Flasher에서 커펌 5.50 GEN-D3 펌웨어 팩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하겠습니다.

Recovery Flasher에서 펌웨어 팩 이용하는 방법 열기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다시 한 번 당부드립니다만, 제발 위에 링크된 사용법 글을 꼭 먼저 읽어주세요.
# 펌웨어 팩 파일을 메모리스틱 최상위에 넣어야 해서 조금 지저분해보이네요. ms0:/PSP/GAME/RECOVERY/ 폴더에 넣는 거였으면 좋았을텐데...

* 관련글 보기 *
Recovery Flasher v1.6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Recovery Flasher v1.5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Recovery Flasher v1.21 - 반벽돌 복구, 커펌 다운그레이더

2009년 5월 30일 토요일

Recovery Flasher v1.6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Hellcat의 Recovery Flasher가 오랜만에 v1.60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리커버리 플래셔는 지그킥배터리가 없이도 실행 가능한 일반 홈브류 프로그램으로서, 커펌 및 정펌 설치가 가능하며 그 외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특히 PSP가 반벽돌 상태이거나 커펌 버전을 내릴 때 주로 사용됩니다.

또 최근 ChickHEN이 발표됨에 따라 정펌 5.03에서 커펌을 설치하는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자세히 설명하려면 끝도 없으므로 자세한 설치법 및 사용법은 http://popotz.textcube.com/1071를 참고해주세요. 여기서는 이번 버전의 변경점만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v 1.60의 변경점

[*] 커펌 5.00 M33 설치시 커펌 5.00 M33-6이 설치되도록 업데이트 되었다. (기존에는 커펌 5.00 M33-4였음.)
[*] 새로운 백업폴더 생성시 일자, 펌웨어, PSP 모델을 폴더 이름에 포함해서 생성한다.
[*] 유니버셜 언브리커 v6 이후 버전에서 모두 작동하도록 하는 resurrecion.prx 파일을 만들었다.
[*] PSP 3000과 TA-088v3 이상 기판의 PSP 2000을 탐색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PSP에서는 커펌 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낸드메모리 쓰기 기능(커펌 설치 등)을 사용할 수 없다.
[*] "Firmware Packs"을 지원한다. - 일종의 애드온 개념으로 새로운 커펌이 나왔을 때 리커버리 플래셔를 새로 발표해야 하는 필요성을 없애준다. 즉, 리커버리 플래셔를 새로 발표하는 대신에 이러한 팩을 이용해서 리커버리 플래셔가 새로 발표된 커펌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리커버리 플래셔가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커펌 GEN 등을 설치할 경우에도 유용하다.
[*] 업데이트 PBP 파일의 손상으로 PSP가 벽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업데이트 PBP의 안정성을 확인한다.
[*] 낸드 덤프를 확인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 HEN 모드의 탐지 기능이 추가되었다.
[*] 백업 파일이 커펌이 아닌 정펌일 경우 이를 탐지하고 취급한다. (HEN에서 만들어진 경우 등)
[*] 낸드 덤프 기능이 향상되었다. 새로운 덤프 자료는 PSP의 ID를 포함해서 백업 슬롯 이름과 비슷한 이름으로 생성된다. 낸드 복구 과정에서는 현재 PSP의 ID와 일치하는 덤프 자료만을 목록으로 보여주며, 그 중에서만 선택이 가능하다. (ID 확인 과정은 실수로 다른 덤프자료를 선택하는 문제를 예방해준다.
[*] 백업 생성/복원 과정에서의 취소 기능이 추가되었다.
[*] HEN 모드에서 만들어진 백업 자료는 원래의 펌웨어를 포함해서 분류된다.

오랜만에 나온만큼 변경사항이 많네요. 특히 커펌 설치 불가능한 기판에서는 아예 파일 쓰기 기능을 작동 안되도록 하는 등 안정성에 중점을 둔 것 같습니다. 리커버리 플래셔는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하는 방식이 아니라 조금은 불안했는데 이제는 그런 걱정은 안 해도 될까요?
또 리커버리 플래셔의 업데이트 없이도 새로운 커펌이 발표되면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Firmware Packs" 기능도 마음에 드네요.


설치법 및 사용법은 http://popotz.textcube.com/1071에 있는 v1.50를 참고해주세요.
뭐, 시간이 나면 이번 v1.60 기준으로 다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2009년 2월 8일 일요일

Recovery Flasher v1.5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그다지 글로 쓸만한 새로운 소식이 없어서, 한참 블로그를 쉴 때 빼먹었던 홈브류에 대해 씁니다.
----------------------------------------------------------------------------------------------

Recovery Flasher v1.50은 쉽게 말해 커펌 인스톨러입니다. 물론 리커버리 플래셔 역시 홈브류이므로 이미 커펌이 설치되어 있어야 실행 가능하며, 정펌(펌웨어 1.50 제외)에서는 구동이 불가능합니다.

Dark_AleX가 발표하는 커펌 인스톨러의 경우 커펌 버전별로 인스톨러가 달라지는데 비해서 리커버리 플래셔는 프로그램 하나에서 커펌 3.71 / 3.80 / 3.90 / 4.01 / 5.00 M33을 선택해서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D_A의 커펌 인스톨러의 경우 다운그레이드 설치(커펌 5.00에서 커펌 3.71 설치 등)가 불가능하지만 리커버리 플래셔는 현재의 커펌 버전에 상관없이 거의 대부분의 커펌에서 다른 버전의 커펌 설치가 가능하며, 정식 펌웨어 1.50에서도 커펌 3.52 M33-3을 먼저 설치할 필요없이 최신의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커펌 3.71 M33 이상에서 XMB로 부팅이 안되고 리커버리 모드로만 접속이 가능한 반벽돌이 되었을 경우 리커버리 플래셔를 이용하면 리커버리 모드에서 바로 복구를 하거나 커펌을 새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그 외 지그킥배터리 변환/ 백업 및 복구 기능, 홈브류 구동 등 여러 가지 부가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물론 리커버리 모드에도 들어가지 않는 완전 벽돌인 경우 리커버리 플래셔는 구동할 수 없으며, 또 안전을 위해 커펌 설치나 복구는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하지만, 리커버리 플래셔는 지그킥배터리의 변환이 불가능한 기판일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겠죠. 하지만 언제나 벽돌이 되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으므로 자기 책임하에 사용해주세요.

*** 아래의 과정 진행중 발생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Recovery Flasher v1.50 설치법/실행법 열기


그럼 커펌의 XMB 또는 리커버리 모드에서 리커버리 플래셔를 구동했을 경우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비스 모드에서 실행했을 경우나 구형/신형에서 실행했을 경우 메뉴 구성이 약간 달라질 수 있습니다.

Recovery Flasher v1.50 사용법 열기


리커버리 플래셔에는 어드밴스드 모드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일반 모드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몇 가지 추가 메뉴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드입니다.

Recovery Flasher v1.50 어드밴스드 모드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2008년 8월 13일 수요일

Recovery Flasher v1.21 - 반벽돌 복구, 커펌 다운그레이더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의 개발자 Hellcat이 Recovery Flasher라는 홈브류를 발표했습니다. [출처가기]

이전 커펌 3.52까지는 리커버리 모드의 Run program at... 기능을 통해 쉽게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하거나 커펌 재설치가 가능했습니다. 그래서 부팅이 안되도 리커버리 모드만 들어갈 수 있으면 복구가 쉽게 가능했죠.
하지만 커펌 3.71 M33 이후 구형/신형 공통 커펌이 되고, 리커버리 모드가 3.xx 커널용이 되면서 이 기능은 더 이상 사용이 불가능했습니다. 그래서 반벽돌이 되도 복구가 쉽지 않았으며, 커펌을 한 번 올리면 내리는 것도 쉽지 않았죠.
(물론 판도라 관련 프로그램이 나오면서 현재는 반벽돌뿐만 아니라 벽돌까지도 복구가 가능하게 되었지만, 아직까지도 판도라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게다가 배터리 변환이 안되는 기판까지 등장했으니...)

하지만 이번에 나온 Recovery Flasher는 지그킥배터리나 매직 메모리스틱 등은 일체 필요없이, 커펌 자체의 기능만으로 반벽돌(부팅은 안되고 리커버리 모드에만 접속 가능한 상태)의 복구나 상위 버전의 커펌에서 커펌 3.71로 다운그레이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추가사항 ] Recovery Flasher가 v1.20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 커펌 3.71과 마찬가지로 커펌 4.01 M33-2도 설치할 수 있게 됨.
* 커펌 3.71 M33-1 대신에 커펌 3.71 M33-4가 바로 설치됨.
* 매직메모리스틱에서 사용되는 ELF 형식이 새로 추가됨.
* ms0:/
PSP/GAME/ 폴더에 있는 홈브류를 실행할 수 있는 간단한 파일 브라우저 추가됨.
* 배터리 충전율이 낮아도 설치를 진행할 수 있는 옵션 추가됨.
* 공식펌웨어 파일(.PBP)의 버전을 확인하는 기능 추가됨.
상당히 유용한 기능들이 추가되었군요.

[ 추가사항 ] v1.21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이번 버전은 펌웨어 파일(371.PBP, 401.PBP)을 기존처럼 /RECOVERY/ 폴더가 아닌 메모리스틱 상위에 넣어도 동작하도록 변경된 것 외에 다른 변경점은 없습니다.

이 홈브류의 특징을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면...(업데이트)
- 지그킥배터리나 매직 메모리스틱(유니버셜 언브리커 등)이 일체 필요없음.
- 반벽돌의 복구나 커펌의 다운그레이드를 위해 커펌 3.71 M33-4 또는 커펌 4.01 M33-2의 재설치 가능.
- 커펌 3.52 M33-3 미만의 커펌에서도 XMB를 통해 바로 커펌 3.71 / 4.01 설치 가능. (원래 커펌 3.71 M33 이상을 설치하려면 반드시 커펌 3.52 M33-3 이상을 먼저 설치해야만 가능했죠.)
- 커펌 3.71 이상에서는 XMB와 리커버리 모드에서 모두 구동 가능, 그 이하의 커펌에서는 XMB에서만 가능.
- 타임머신을 통해 불러온 커펌 3.40 OE나 커펌 3.60 M33에서도 구동 가능.
- 유니버셜 언브리커 v6의 'Test M33' 메뉴를 이용한 커펌 4.01 M33에서 구동 가능.
- 손휘의 펌웨어 업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음.
- 커펌과 관련된 파일들의 백업 작성 가능. (펌웨어, 설정, PSN 인증 파일 등, 낸드 덤프와는 다름.)
- 커펌의 다양한 부분들 복구 가능 (XMB 테마, 설정, PSN 인증 파일 등)

* Download : 공식 펌웨어 3.71
* Download : 공식 펌웨어 4.01

[ 설치법 ] - 리커버리 모드 / XMB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1. 위의 Recovery Flasher를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RECOVERY'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1. 커펌 3.71 M33-4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3.7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37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PSP/GAME/RECOVERY/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2-2. 커펌 4.01 M33-2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4.0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40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PSP/GAME/RECOVERY/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3. 설치 끝~

[ 사용법 ] - 리커버리 모드 / XMB에서 실행한 경우

사용법 열기

--------------------------------------------------------------------------------------------------

[ 설치법 / 사용법 ] - ELF MENU / NAND TOOL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1. 위의 Recovery Flasher를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 'PANDORA' 폴더에 있는 'rflash.elf' 파일을 ELF MENU나 NANDTOOL이 설치되어 있는 메모리스틱의 ms0:/ELF/ 폴더로 복사합니다.
2. 첨부파일의 'RECOVERY' 폴더에 있는 'EBOOT.PBP' 파일도 메모리스틱의 ms0:/ELF/ 폴더로 복사합니다.
3-1. 커펌 3.71 M33-4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3.7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37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ELF/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3-2. 커펌 4.01 M33-2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4.0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40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ELF/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4.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해 ELF MENU나 NANDTOOL을 실행하고 해당 ELF를 선택해 실행하면 Recovery Flasher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5. 사용법은 위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단, 이 경우 백업과 복구 기능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설치법 / 사용법 ] - 유니버셜 언브리커 v1~v4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1. 위의 Recovery Flasher를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 'PANDORA' 폴더에 있는 'rflash.elf' 파일을 ressurection.elf'로 이름을 변경한 뒤 ms0:/KD/ 폴더에 덮어씁니다.
2. 첨부파일의 'RECOVERY' 폴더에 있는 'EBOOT.PBP' 파일도 메모리스틱의 ms0:/KD/ 폴더로 복사합니다.
3-1. 커펌 3.71 M33-4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3.7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37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KD/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3-2. 커펌 4.01 M33-2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4.0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40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KD/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4.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해 부팅하면 기존의 유니버셜 언브리커 메뉴 대신에 Recovery Flasher가 실행됩니다.
5. 사용법은 위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단, 이 경우 백업과 복구 기능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유니버셜 언브리커 v5에서는 ms0:/kd/ 폴더 대신에 ms0:/TM/DC5/KD/ 폴더를 사용해야 하며, 유니버셜 언브리커 v6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아래 동영상은 실제로 커펌 4.01 M33-2에서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커펌 3.71 M33-1로 내려가는 모습입니다.
--------------------------------------------------------------------------------------------------

이제야 모든 커펌에서 판도라 관련 툴없이도 반벽돌 복구와 커펌의 다운그레이드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초기 커펌 ~ 커펌 3.52 M33-4 까지는 기존의 방법으로 -> http://popotz.textcube.com/426
커펌 3.71 M33-1 이후부터는 위의 Recovery Flasher를 통해 가능하게 된 것이죠.

물론 리커버리 모드조차 들어가지 않는 벽돌이라면 기존처럼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 반벽돌 복구 글도 변경해야겠네요. 징징...
#  '커펌 3.71로 어떻게 돌아가죠?'라는 질문이 하도 많아 타임머신 + 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 설치글을 올렸었는데... 조금만 더 빨리나오지... 또 징징..
# 그래도 위의 프로그램보다는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하는 방법이 더 안전하고 좋습니다. 커펌 설치 중에 전원이 꺼지거나 하면 벽돌이 되므로 충분히 주의하시고, 자기 책임하에 사용해주세요.
# 위 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2008/05/28 - [판도라의 배터리] - 타임머신+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설치
2008/05/12 - [뉴스 / 루머] - 강제 사용자 설정 초기화 방법
2008/01/28 - [커스텀펌웨어/커펌 공통] - 커펌 반벽돌 복구법
2007/12/30 - [홈브류 - 일반] - Config Cleaner 2.0 - 커펌 3.71용 플래시1 포맷터
2007/08/01 - [커스텀펌웨어/커펌 공통] - 커펌의 1.50 복구 / 재설치 방법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