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4월 2일 금요일
HBL : 에뮬 PicoDrive v1.51b
이전 글에 'go사용자'님이 댓글을 적어주신대로 PSPGen에서 HB Loader를 이용한 PicoDrive 구동에 성공한 뒤 그 자료를 공개했습니다. [출처가기]
PicoDrive는 세가의 메가드라이브(=Genesis)와 세가CD(=메가CD)의 게임을 PSP로 구동할 수 있게 해주는 에뮬레이터로, 완벽하지는 않지만 HB Loader에서 구동이 확인된 최초의 에뮬레이터라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HB Loader로 PicoDrive 구동하기 ]
1. HB Loader 자체는 공식 펌웨어 6.20 이하라면 기종에 상관없이 모든 PSP에서 구동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공식 펌웨어 6.00/6.10/6.20에서는 HB Loader를 이용한 PicoDrive 구동이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또한 PSP Go!에서의 구동여부도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2. http://www.pspdemocenter.com/page.php?id=2948에 서 파타퐁2 북미판 체험판을 다운로드한 뒤, 압축파일의 압축을 풀고 그 안의 'UCUS98734'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3. 위 자료를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모든 폴더와 파일을 메모리스틱 최상위(ms0:/)에 복사합니다. (덮어쓰겠냐는 메세지가 나오면 '예'를 선택해 덮어쓰세요.)
4. 그 후 메가드라이브용 롬파일(*.SMD, *.ZIP)을 따로 구해 ms0:/roms/ 폴더 안으로 복사합니다.
5. 이제 평소처럼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PATAPON 2' 북미판 데모를 실행합니다. 실행 후 시스템 데이터가 없다고 나오면 "YES"를 선택해 새로 생성합니다.
6. 게임 메인 메뉴에서 'Continue'를 선택해 미리 저장된 세이브파일을 로드하고, 게임이 시작되면 R트리거를 누릅니다.
7. 잠시 기다리면 PicoDrive가 실행됩니다. 저장해둔 롬파일을 선택해 실행하면 됩니다.
8. 그 외 PicoDrive의 사용법이나 세가CD 구동법(아마 안될 듯 싶지만..) 등은 http://popotz.textcube.com/914 참고해주세요.
---------------------------------------------------------------------------------------------------
# 일부 게임 롬 로드시 충돌이 일어나거나, PicoDrive의 설정을 변경해도 사운드가 나오지 않는 등 완벽하게 구동되지는 않습니다. (현재는 HB Loader 자체에서 홈브류의 사운드 출력을 지원하지 않고 있습니다.)
# 위 첨부자료에 포함된 HB Loader를 사용해도 되고, 이전 글에서 소개한 HB Loader Beta 1.2를 그대로 사용해도 됩니다.
* 관련글 보기 *
Half-Byte Loader Beta 1.2
HB Loader 바이너리 & 테트리스 홈브류
파타퐁2 데모용 홈브류 로더 진행상황 & 발렌타인 프로젝트
파타퐁2 데모 익스플로잇 공개
메가드라이브 에뮬 : 비공식 Picodrive 1.35b R
메가드라이브 에뮬 : PicoDrive v1.51
메가드라이브 에뮬 : PicoDrive for PSP v1.35b
2008년 7월 10일 목요일
메가드라이브 에뮬 : PicoDrive v1.51
세가의 메가드라이브(=Genesis)와 세가CD (=메가CD)의 게임을 PSP로 구동할 수 있게 해주는 에뮬레이터인 PicoDrive가 오랜만에 v1.50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출처가기]
메가드라이브 에뮬은 이전의 DGEN v1.7이 있습니다만, PicoDrive가 일반적으로 더 좋은 구동 능력을 보여준다고 알려져 있죠. 게다가 이번에 업데이트된 v1.50은 이전보다 더욱 향상된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변경사항이 굉장히 많은데 전문적인 내용이라 생략합니다. 그냥 '아~ 좋아졌구나!'라고 생각하면 될 듯...?
[ 추가사항 ] v1.51로 업데이트!
1. 대부분의 커펌에서 모두 구동될 듯 합니다. 저는 구형 PSP / 커펌 4.01 M33-2에서 테스트했습니다.
2. 위의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PicoDrive' 폴더를 ms0:/PSP/GAME/ 폴더 또는 ms0:/PSP/GAME3xx/ 폴더에 복사합니다. (예 : 커펌 3.71이라면 /GAME371/ 폴더, 커펌 4.01이라면 /GAME4xx/ 폴더)
3. 그리고 메가드라이브용 롬파일(*.SMD, *.ZIP)을 메모리스틱으로 복사합니다.
(롬 파일 선택시 탐색이 가능하므로 메모리스틱 아무곳에나 저장하면 됩니다.)
4. 롬파일은 저작권이 있으므로 제공하지 않습니다. 각자 구하세요.
이제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PicoDrive'를 실행하고 아래의 방법대로 게임을 실행합니다.
기본 사용법 및 메가드라이브 게임 실행법 열기

처음 PicoDrive를 실행한 화면입니다. 선택은 동그라미버튼, 취소는 엑스버튼입니다.

메인메뉴에서 우선 Change options 메뉴로 들어가면, 실행과 관련된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기존 에뮬레이터와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입니다. 화면 크기를 4:3 또는 풀스크린으로 설정하려면 [Display options]항목으로 들어가면 됩니다.
단, 게임 실행이 안된다던지, 사운드나 그래픽이 깨진다면 아래대로 설정을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 Renderer 항목을 'accurate'로 변경
* Advanced options - Emulate Z80 항목을 'ON'으로 변경
설정을 마치고 맨 아래의 Save cfg as default를 선택하면 설정이 저장되어 다음 실행때에도 동일한 설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각 설정 메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첨부된 readme.txt에 쉬운 영어로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참고하세요.)* Advanced options - Emulate Z80 항목을 'ON'으로 변경

메인 메뉴에서 'Configure controls' 메뉴로 들어가면 각 조작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변경하려는 위치에서 셀렉트버튼을 누르면 설정된 버튼이 초기화되며, 그 이후 셀렉트버튼을 누른채로 새로 사용할 버튼을 입력하면 됩니다. 자신의 취향에 맞게 변경했으면 'Done'을 선택해 빠져나옵니다.
(Player 1 controls가 아니라 Emulator controls 항목으로 들어가면 에뮬레이터에서 사용되는 기능의 단축키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강제 세이브/로드 단축키 등...)

이제 본격적으로 게임을 실행하기 위해 메인메뉴에서 'Load new Rom / ISO' 메뉴를 선택합니다.
메모리스틱의 파일과 폴더가 보이게 되므로, 실행하려는 롬파일을 찾아 동그라미버튼으로 선택합니다.

잠시 후 해당 게임이 실행됩니다.

게임중 셀렉트버튼을 누르면 언제든지 메뉴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강제 세이브 / 로드와 설정 변경, 다른 게임 불러오기, 에뮬레이터 종료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세가CD(=메가CD) 실행법인데, 자세한 지식도 없고 실제로 테스트도 못해봤으므로 readme에 나온 관련 내용만 번역하겠습니다.
세가CD(=메가CD) 게임 실행법 열기
Sega/Mega CD 게임 구동법
-----------------------------
게임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바이오스 파일이 필요하다. 이 바이오스 파일들은 위에서 말한 'PicoDrive' 폴더 안에 있어야 한다.
또한 이 바이오스 파일들의 이름을 아래와 같이 변경해줄 필요가 있다.
게임들은 ISO 포맷으로 덤프되어야 한다. 하지만, CUE/BIN 포맷 역시 사용 가능하다. CUE/BIN 포맷을 사용할 경우에는 에뮬레이터에서 반드시 .cue 파일을 불러와야만 하며, 그렇지 않으면 에뮬레이터가 오디오 트랙을 찾지 못할 것이다.
CUE/BIN 포맷은 보통 많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cue/cso/mp3 포맷으로 전환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서는 첨부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bin_to_cso_mp3 tool을 사용하면 된다. 이 툴의 자세한 사용법은 bin_to_cso_mp3 폴더에 있는 readme를 참고해라.
ISO+mp3 파일들은 다른 에뮬레이터가 그렇듯이 서로 유사성을 가진 이름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
몇 가지 예를 들자면,
'SonicCD.iso' data track
'SonicCD_02.mp3' audio track 1 (CD track 2)
'SonicCD_03.mp3'
...
'Sonic the Hedgehog CD (US) - Track 01.iso'
'Sonic the Hedgehog CD (US) - Track 02.mp3'
'Sonic the Hedgehog CD (US) - Track 03.mp3'
...
중요한 점은 MP3의 경우 44kHz의 샘플레이트와 스테레오로 인코딩되어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너무 빠르거나 느리게 재생되거나, 아니면 전혀 재생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고전적인 MP3 포맷 외에 다른 포맷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라.
ISO 파일은 .cso로 압축되거나 .zip으로 압축되어 있어도 구동이 가능하긴 하다. 하지만 CSO는 로딩 시간이 조금 더 길어질 수 있고 FMV(?) 게임에는 그리 좋지 않다. 또한 ZIP으로 압축된 ISO 파일은 로딩 시간이 아주 길어지고 몇몇 게임은 구동되지 않으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CSO / ZIP의 파일명은 압축되지 않은 ISO 파일과 비슷하게 해야한다. 예를 들면,
'SonicCD.cso' data track
'SonicCD_02.mp3' audio track 1 (CD track 2)
'SonicCD_03.mp3'
...
-----------------------------
게임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바이오스 파일이 필요하다. 이 바이오스 파일들은 위에서 말한 'PicoDrive' 폴더 안에 있어야 한다.
또한 이 바이오스 파일들의 이름을 아래와 같이 변경해줄 필요가 있다.
US : us_scd1_9210.bin, us_scd2_9306.bin, SegaCDBIOS9303.bin
EU : eu_mcd1_9210.bin, eu_mcd2_9303.bin, eu_mcd2_9306.bin
JP : jp_mcd1_9112.bin, jp_mcd1_9111.bin
이 파일들은 zip으로 압축되어 있어도 괜찮다.EU : eu_mcd1_9210.bin, eu_mcd2_9303.bin, eu_mcd2_9306.bin
JP : jp_mcd1_9112.bin, jp_mcd1_9111.bin
게임들은 ISO 포맷으로 덤프되어야 한다. 하지만, CUE/BIN 포맷 역시 사용 가능하다. CUE/BIN 포맷을 사용할 경우에는 에뮬레이터에서 반드시 .cue 파일을 불러와야만 하며, 그렇지 않으면 에뮬레이터가 오디오 트랙을 찾지 못할 것이다.
CUE/BIN 포맷은 보통 많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cue/cso/mp3 포맷으로 전환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서는 첨부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bin_to_cso_mp3 tool을 사용하면 된다. 이 툴의 자세한 사용법은 bin_to_cso_mp3 폴더에 있는 readme를 참고해라.
ISO+mp3 파일들은 다른 에뮬레이터가 그렇듯이 서로 유사성을 가진 이름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
몇 가지 예를 들자면,
'SonicCD.iso' data track
'SonicCD_02.mp3' audio track 1 (CD track 2)
'SonicCD_03.mp3'
...
'Sonic the Hedgehog CD (US) - Track 01.iso'
'Sonic the Hedgehog CD (US) - Track 02.mp3'
'Sonic the Hedgehog CD (US) - Track 03.mp3'
...
중요한 점은 MP3의 경우 44kHz의 샘플레이트와 스테레오로 인코딩되어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너무 빠르거나 느리게 재생되거나, 아니면 전혀 재생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고전적인 MP3 포맷 외에 다른 포맷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라.
ISO 파일은 .cso로 압축되거나 .zip으로 압축되어 있어도 구동이 가능하긴 하다. 하지만 CSO는 로딩 시간이 조금 더 길어질 수 있고 FMV(?) 게임에는 그리 좋지 않다. 또한 ZIP으로 압축된 ISO 파일은 로딩 시간이 아주 길어지고 몇몇 게임은 구동되지 않으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CSO / ZIP의 파일명은 압축되지 않은 ISO 파일과 비슷하게 해야한다. 예를 들면,
'SonicCD.cso' data track
'SonicCD_02.mp3' audio track 1 (CD track 2)
'SonicCD_03.mp3'
...
* 관련글 보기 *
2007/11/23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메가드라이브 에뮬 : PicoDrive for PSP v1.35b
2007/10/20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3.xx 커널용 메가드라이브 에뮬 : DGEN v1.70
2007/06/07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메가드라이브 에뮬 : DGEN v1.7
2007년 11월 27일 화요일
메가드라이브 에뮬 : PicoDrive for PSP v1.35b
PicoDrive for PSP v1.35b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출처가기]
메가드라이브 에뮬은 이전의 DGEN v1.7이 있습니다만, 이번 PicoDrive는 더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사운드 부분에서 많은 개선이 이루어진 것 같군요. 또한 PicoDrive는 메가드라이브 뿐만 아니라 Sega/Mega CD도 불안정하지만 구동할 수 있습니다.
* Download : (구형 펌웨어 1.50 사용자용)
* Download : (구형 / 신형 커펌 사용자용)
1. 커펌 기준으로만 설치법을 설명합니다.
2. 위의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온 'PicoDrive' 폴더를 ms0:/PSP/GAME/ 폴더 또는 ms0:/PSP/GAME3xx/ 폴더에 복사합니다. (예 : 커펌 3.71이라면 /GAME371/ 폴더)
3. 그리고 메가드라이브용 롬파일(*.SMD, *.ZIP)을 'PicoDrive' 폴더로 복사합니다.
(롬파일 탐색기도 지원하므로 굳이 이곳이 아니라 메모리스틱 아무 곳에나 저장해도 됩니다.)
4. 롬파일은 저작권이 있으므로 제공하지 않습니다. 각자 구하세요.
이제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PicoDrive'를 실행하고 아래의 방법대로 게임을 실행합니다.
PicoDrive for PSP v1.35a에서 메가드라이브 게임 실행법 열기

처음 PicoDrive를 실행한 화면입니다. 선택은 동그라미버튼, 취소는 엑스버튼입니다.

메인메뉴에서 우선 Change options 메뉴로 들어가면, 실행과 관련된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기존 에뮬레이터와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입니다.
단, 게임 실행이 안된다던지, 사운드나 그래픽이 깨진다면 아래대로 설정을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 Renderer 항목을 'accurate'로 변경
* Accurate timing 항목을 'ON'으로 변경
* Advanced options - Emulate Z80 항목을 'ON'으로 변경
설정을 마치고 맨 아래의 Save cfg as default를 선택하면 설정이 저장되어 다음 실행때에도 동일한 설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Accurate timing 항목을 'ON'으로 변경
* Advanced options - Emulate Z80 항목을 'ON'으로 변경
(각 설정 메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첨부된 readme.txt에 쉬운 영어로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참고하세요.)

이번엔 메인메뉴에서 'Configure controls' 메뉴로 들어가보겠습니다.
게임중 조작키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변경하려는 위치에서 셀렉트버튼을 누르면 설정된 버튼이 초기화되며, 그 이후 셀렉트버튼을 누른채로 새로 사용할 버튼을 입력하면 됩니다. 자신의 취향에 맞게 변경했으면 'Done'을 선택해 빠져나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게임을 실행하기 위해 메인메뉴에서 'Load new Rom / ISO' 메뉴를 선택합니다.
메모리스틱의 파일과 폴더가 보이게 되므로, 실행하려는 롬파일을 찾아 동그라미버튼으로 선택합니다.

잠시 후 해당 게임이 실행됩니다.

게임중 셀렉트버튼을 누르면 언제든지 메뉴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강제 세이브 / 로드와 설정 변경, 다른 게임 불러오기, 에뮬레이터 종료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2007/10/20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3.xx 커널용 메가드라이브 에뮬 : DGEN v1.70
2007/06/07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메가드라이브 에뮬 : DGEN v1.7
피드 구독하기:
글 (Atom)